경제/책

(도서) 차트 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3)

가라멜 2020. 9. 9. 22:34
반응형

[6] 패턴 분석을 이용한 매매방법

-  과거의 주가 흐름을 통해 검증된 패턴을 현재의 주가 흐름에 대입해 주가의 등락을 예측하는 것

(1) 상승 반전형 패턴

1) 삼중바닥형(역H&S형)

- 삼중천정형을 거꾸로 돌려놓은 그림. 주가 상승의 대표적인 모양 중 하나. 

2) 이중바닥형(쌍바닥형 또는 W자형)

- 이중천정형을 거꾸로 돌려놓은 모양. 바닥에서 두차례나 지지를 받아 상승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상승모양

3) 원형바닥형

- 원형천정형을 거꾸로 돌려놓은 그림. 원형을 완성한 후 보합권을 이탈하여 거래량을 수반하면서 상승할 경우 추가 상승 가능성이 매우 높음. 바닥 이후 거래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기준선을 넘어갈 때 거래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

4) V자 바닥형

- 하락하던 주가가 상승으로 방향을 전환한 경우. 상승추세선에서 거래량이 늘면 상승에 대한 신뢰도가 높음

5) 상승삼각형

- 저점은 상승추세선을 타고 높아지고 고점은 저항선으로 만들어진 삼각형. 삼각형 수평선을 돌파할 경우 추가 상승 예상

6) 상승박스형

- 박스권 안에서 움직이던 주가가 박스를 상향 돌파할 때 추가 상승 예상

7) 대칭삼각형 고점 추세선은 하락하고 저점 추세선은 상승하여 균형이 잡힌 삼각깃대형. 

 

(2) 하락 반전형 패턴

1) 삼중천정형(H&S형)

- 봉우리 3개가 사람의 머리와 어깨처럼 그려진 패턴. 주가 하락의 전형적인 모양 중 하나

2) 이중천정형(쌍봉형 또는  M자형)

- 두 개의 산봉우리가 만들어진 쌍봉 그림. 두 차례나 동일한 가격 선에서 저항을 받아 내려오기 때문에 전형적인 하락 모양. 두번째 봉우리에서의 거래량은 첫번째 봉우리에 비해 적은 것이 보통

3) 원형천정형

- 주가가 상승 후에 힘에 부쳐 원형으로 하락하는 모습. 주가가 상승하는 동안엔 거래량이 늘었다가 원형 정상에서는 줄어드는 특색이 있음.

4) 역V자형 천정형

V자형바닥형과 반대로, 기세좋게 오르던 주가가 하락으로 방향을 전환한 경우

5) 하락삼각형

- 고점은 하락추세선을 타고 낮아지고 저점은 수평선의 지지를 받고있는 상태에서 주가가 지지선을 하향 돌파할 때 추가하락이 예상

6) 하락박스형

- 주가가 박스권 내에서 움직이다가 박스를 하향돌파할 때 추가 하락 예상

7) 확장삼각형

- 대칭삼각형과 반대로 균형점에서 주가가 확산되어 가는 모양. 상승추세가 끝나고 하락으로 전환될 때 나타남.

 

[7] 거래량 분석을 이용한 매매방법

- 큰손이 거래할 때는 매매단위가 크고, 일반투자자들이 거래할 때는 거래단위가 적다. 

- 주가가 상승한 날의 거래량은 매집물량. 주가가 떨어진 날의 거래량은 분산물량. 

- 거래량 분석의 보조지표 OBV선

 

[8] 모멘텀 지표 이해하기

- 모멘텀 지표란 현재 주가와 일정 기간 전 주가의 차이 또는 비율로 나타낸 지표

<모멘텀 지표의 특징>

(1) 주가 그래프는 보는 것보다 모멘텀 지표를 보는 것이 주가 흐름을 파악하기가 쉽다.

- 모멘텀 지표와 주가는 유사한 모양의 파동을 그린다. 그러나 모멘텀 지표는 기준선인 0을 중심으로 하여 규칙적인 파동을 그리기 때문에 주가 파동의 사이클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2) 기준선을 이용하면 주가의 방향과 추세를 알 수 있다.

- 모멘텀이 0 위에 있을 때는 주가가 상승파동, 0아래에 있을 때는 하락파동. 

- 기준선 위쪽에 있다는 것은 운동에너지가 강, 아래쪽은 약

(3) 과매수/과매도 구간에 들어가면 주가는 방향 전환을 하는 경향이 있다.

- 플러스 권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극단적인 구간을 과매수 구간으로 정하고, 마이너스 권에서 일정 수준 이하의 극단적인 구간을 과매도 구간으로 하였을 때 이들 구간에 들어가면 주가가 방향을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

(4) 모멘텀 지표와 신호선의 만남으로 매매시점을 알 수 있다.

- 신호선이란 모멘텀 지표를 일정기간 이동평균하여 만든 선

- 따라서 모멘텀 곡선에 비해 완만하고 후행하는 속성이 있음.

- 모멘텀 곡선이 신호선을 상향 돌파 > 매수 신호, 신호선 하향 돌파 > 매도 신호

(5) 다이버전스가 발생하면 추세 전환을 미리 알 수 있다.

- 다이버전스란 주가와 모멘텀 지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는 뜻

- 다이버전스 발생 이유는 주가의 진행 가속도가 점차 탄력을 잃어가고 있음에도 주가의 추세 전환이 바로 이루어지지 않고 시차를 두고 나타나기 때문. 

 

 모멘텀을 이용한 신기술적 분석기법 중 MACD 지표와 스토캐스틱 지표는 반드시 활용하고, 일목균형표와 볼린저 밴드는 참고로 사용할 것 을 권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