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책

(도서) 차트 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4)

가라멜 2020. 9. 10. 22:21
반응형

 [9] MACD 활용하기

-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 이동평균선이 모아지고 멀어지는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 즉,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 지표

- 단기 피ㅕㅇ선과 장기 이평선의 차이를 계산한 곡선

<MACD를 이용한 주가 예측방법>

1. 기준선을 이용하면 주가 추세를 알 수 있다.

- 기준선이란 운동에너지가 중립인 상태를 말하며 숫자 0으로 표시

- MACD곡선이 기준선 위로 올라가면 상승추세, 반대는 하락추세로 전환

2. 과매수/과매도 상태가 됨녀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높다.

- 과매수/과매도 구간에 들어갔다는 이유만으로 섣불리 매매 결정 x

- 과매수/과매도 구간을 벗어나면 매매를 준비하고 있다가 MACD가 시그널 곡선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하고, 상향 돌파하면 매수

- 과매수/과매도 구간을 활용할 때는 일봉이나 주봉 차트에서 추세선과 이평선을 이용하여 주가의 추세 확인 필요

3. 시그널 곡선을 이용하면 매수/매도 시점을 알 수 있다.

- MACD 곡선이 시그널 곡선을 상향돌파하면 매수 반대는 매도 신호

4. 다이버전스가 발생하면 추세 전환이 예상된다.

- 상승형 다이버전스 : 주가가 하락 또는 횡보하고 있을 때 MACD곡선은 상승하는 경우. 상승으로 전환 예상. 매수

- 하락형 다이버전스 : 주가가 상승 또는 횡보하고 있을 때 MACD곡선을 하락하는 경우. 하락으로 전환 예상. 매도

< MACD 활용시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1. MACD는 대표적인 추세 확인 보조지표이다.

2. MACD 곡선은 기간이 긴 단위의 차트일수록 활용도가 높다. 

3. MACD 신호와 다른 보조지표 신호가 상반되게 나타날 때는 매매를 하지 말아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