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가 예측 기법
1. 기본적 분석
- 기업의 내재가치를 분석해 현재의 주가와 비교
내재가치 = [(주당 순자산가치 *1) + (주당 수익가치 *1.5)] / 2.5
- 재무실적은 과거 2-3년치
- ROE, PER, EV/EBITDA, PBR 등을 업종 평균과 비교
- 과거의 실적보다는 미래의 추정 예상실적 중시
2. 차트분석(기술적 분석)
- 그래프는 과거 주가 흐름을 나타낼 뿐
- 예외가 많음
- 먼저 매매신호를 발견하고 행동해야 수익이 난다.
- 가치분석과 차트분석은 불가분의 관계
3. 포트폴리오 이론
< 차트분석의 5가지 원리 >
(1) 차트는 수급의 결과를 반영한다.
(2) 주가는 관성의 원리에 따라 추세를 지속하려는 속성이 있다.
(3) 주가는 파동과 사이클을 반복하려는 속성이 있다.
(4) 주가에도 어느 정도 구심력이 있다.
(5) 주가는 선행하는 경향이 있다.
[2] 차트 분석의 종류와 유형
<종류>
1. 추세 분석
2. 패턴 분섟
3. 장세 분석
4. 목표치 계산
<유형>
1. 추세 지표
2. 모멘텀 지표
3. 변동성 지표
4. 주가에 시간 개념을 포함시켜 만든 분석지표
5. 시장강도 지표
6. 시장동향 지표
[3] 봉차트와 주가 파동 이론
1. 봉은 시가, 종가, 고가, 저가를 나타낸다.
2. 봉은 몸통과 꼬리로 구성되어 있다.
- 몸통 : 시가와 종가로 구성. 양봉/음봉
- 꼬리 : 장중 시가나 종가를 벗어나는 가격
3. 봉은 양봉과 음봉으로 표시
- 양봉 : 시가보다 종가가 높게 끝난 경우
- 음봉 : 시가보다 종가가 낮게 끝난 경우
4. 봉은 작성기간에 따라 일봉, 주봉, 월봉등으로 나뉜다.
<봉의 종류와 의미>
1. 양봉
- 긴 양봉 : 시가 대비 가격이 크게 상승한 경우, 매수 세력이 시장을 장악
- 짧은 양봉 : 몸통이 짧은 양봉. 매수 세력이 강함
- 망치형 양봉 : 장중 매도세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밀렸지만 매수세력이 시장을 장악
- 역망치형 양봉 : 추세 상승 이후에 출현하면 매도의 관점, 추세 하락 마지막 국면에 나타나면 상승 전환 가능성
2. 음봉
- 긴 음봉 : 시가 대비 크게 하락. 매도 세력이 시장을 장악
- 짧은 음봉 : 매도 세력이 강함
- 망치형 음봉(일명 교수형) : 장중 매수세력이 반등을 시도했던 흔적이 있으나 실패. 바닥권에서 출현시 반등 가능성, 천정권에서 출현이 매도세력이 건재함을 보여줌
- 역망치형 음봉 : 매수세력이 상승을 시도했지만 실패한 형국
3. 도지
- 시가와 종가가 같은 봉으로 매도세력과 매수세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형국
<연결봉으로 주가 예측하기>
1. 상승 반전형
1) 상승 장악형
- 상승장악형 : 연이은 주가 하락 이후 강력한 양봉이 출현해 직전의 음봉을 덮은 경우.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될 때 자주 출현
- 강한 상승장악형 : 하락 추세에서 2-3일 종가를 모두 돌파하는 양봉이 출현하는 경우. 특히 5일/10일 이평선을 돌파할 때는 강력한 상승 전환 예상
- 약한 상승장악형 : 하락 추세에서 음봉 이후 출현한 양봉이 직전 음봉의 몸통을 완전히 덮지 못하고 반 이상 덮은 모양
2) 강세 잉태형
- 하락하던 주가에서 긴 음봉 이후 출현한 작은 양봉이 직전 음봉의 몸 안에 들어가 있는 모양. 상승 전환으로 예측
3) 상승망치형
- 하락추세에서 긴 아래꼬리가 달린 짧은 양봉(또는 음봉)이 출현한 모양.
4) 상승도지형
- 하락추세에서 전일의 종가가 지지되는 십자 모양의 봉이 출현. 매도 세력이 힘을 잃어가고 있다는 뜻
5) 적삼병
- 하락 추세에서 음봉 또는 도지 발생 후 저점과 고점을 높이는 3개의 양봉이 연속해서 출현하는 경우. 강력한 상승 전환으로 간주. 5일 /10일 이평선을 돌파한 경우 더욱 신뢰성이 높음
2. 하락 반전형
1) 하락 장악형
- 상승 추세에서 강력한 음봉이 출현하여 직전의 양봉을 덮은 경우
- 강한 하락장악형 : 상승 추세에서 2-3일전 종가를 모두 하락돌파하는 음봉이 출현할 때.
- 약한 하락장악형(흑운형) : 양봉 이후 나타난 음봉이 전일의 양봉을 부분 장악한 경우
2) 약세잉태형
- 상승 추세에서 긴 양봉 이후에 직전 양봉 하단부에 음봉이 출현한 형태
3) 하락망치형(일명 교수형)
- 교수형 : 상승장 마지막에 아래꼬리가 길게 달린 음봉이 출현해 그 몸통이 전일 종가 위에 있는 경우
- 양봉 망치형 : 상승추세에서 양봉 망치형이 나타나도 하락장을 예상
- 역망치형 : 상승장 마지막에 위꼬리가 길게 달린 음봉이 출현한 형태
4) 하락도지형
- 도지형 : 상승 추세에서 전일 긴 양봉의 종가와 같은 가격에서 도지가 출현하고 도지 발생 다음날 주가가 저항선 아래로 하락 할 때
- 비석형 도지 : 도지가 저항선이 되는 경우 하락을 예상
- 저녁별형 도지 : 전일의 양봉 종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출현한 도지
5) 흑삼병
- 상승 추세에서 양봉 또는 도지 발생 이후 고점과 저점을 낮추는 3개의 음봉이 연속해서 출현하는 경우
3. 추세지속형
1) 갭
- 인접한 두 개의 봉에서 한 봉의 저점이 다른 봉의 고점보다 높아 차트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경우. 매수 매도 주문이 갑자기 불균형을 이루어 급등락할 때 발생
- 상승지속갭 : 매수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발 호재가 발생했을 때 출현. 상승 추세가 지속된다고 봄.
- 하락지속갭 : 매도 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발 악재가 발생했을 때 출현. 하락추세가 지속된다고 봄
2) 상승삼법형과 하락삼법형
- 상승삼법형: 긴 양봉 출현 이후 작은 음봉 3개가 출현하고 이어 긴 양봉이 직전 양봉을 돌파하는 형태
- 하락삼법형 : 긴 음봉 출현 이후 작은 양봉이 2-4개 나타나고 이어 또 다시 긴 음봉이 출현하여 직전 음봉을 하락 돌파하는 형태
3) 상승격리형과 하락격리형
- 상승격리형 : 상승이 진행되다가 음봉이 출현한 후 음봉 시가에서 재차 양봉이 출현하면서 상승을 이어가는 경우
- 하락격리형 : 하락이 진행되다가 양봉이 출현한 후 양봉 시가에서 재차 음봉이 출현하면서 하락을 이어가는 경우
<주가 파동 이론>
1. 파동의 3대 요소
1) 패턴 : 파동의 형태
2) 비율 : 상승파동의 폭과 조정파동의 폭의 비율.
3) 시간 : 파동간 시간적인 길이를 말하며 패턴과 비율을 확인하는데 이용
'경제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 차트 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6) (0) | 2020.09.12 |
---|---|
(도서) 차트 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5) (0) | 2020.09.11 |
(도서) 차트 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4) (0) | 2020.09.10 |
(도서) 차트 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3) (0) | 2020.09.09 |
(도서) 차트 분석 무작정 따라하기 (2) (0) | 2020.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