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캐시기억장치의 사상방식
1) 직접 사상
-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억장치를 참조할 떄 중앙처리장치 주소를 Tag 필드와 Index 필드로 나눈다.
2) 연관 사상
- 캐시기억장치에 데이털 블록을 저장할 떄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주기억장치 주소도 함께 저장하는 방식
주기억장치의 어떤 데이터 블록도 캐시기억장치의 임의의 위치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사상방식의 단점을 일부분 보완 가능
3) 집합-연관 사상
- 직접사상 + 연관사상 조합
- 캐시기억장치의 하나의 Index에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데이터 블록을 저장시켜 하나의 세트(집합) 생성
2. 가상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와 같이 기억용량이 큰 기억장치를 마치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개념
- 주기억장치의 기억용량이 부족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
- 페이징 기법, 세그먼트 기법
3. 보조기억장치
- 순차접근 방법 : 처음에 들어있는 자료부터 순서적으로 데이터 검색, 일괄처리에 주로 사용
- 직접접근 방법 : 직접 원하는 레코드에 접근, 실시간 처리에 주로 사용
반응형
'프로그래밍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강 입출력시스템(2) (0) | 2018.11.18 |
---|---|
12강 입출력시스템(1) (0) | 2018.11.18 |
10강 기억장치(1) (0) | 2018.11.14 |
9강 중앙처리장치(3) (0) | 2018.11.08 |
8강 중앙처리장치(2) (0) | 2018.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