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의 개념>
1. 암호의 정의
- 두 사람이 안전하지 않은 채널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받더라도 제 3자가 이 정보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하는 것
- 평문 / 암호문 / 암호화 / 복호화
- 키 : 암호화와 복호화를 위한 가장 주용한 열쇠
- 암호는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
2. 암호의 역사
- 스테가노그래피 : 실제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자체를 숨기는 것, 최초의 암호로 보기 힘듦
- 전치법 : 평문에 있는 문자들의 순서를 바꿈으로써 암호화하는 기법, 가장 단순한 방식
- 치환법 : 평문의 문자들을 다른 문자로 치환함으로써 암호화하는 기법, 시저암호, 시프트암호
- 비즈네르 암호 : 시프트 암호를 개선한 새로운 치환법, 여러개의 정수값을 키로 이용
- 근대 암호 : 플레이페어 암호, 힐 암호 등 다양한 방식 등장
: 섀넌 - 일회성 암호체계가 안전함을 증명, 암호체계 설계의 두 가지 기본원칙 제시 : 혼돈과 확산
- 1970년대 : 표준 암호 알고리즘 등장,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등장
3. 대칭키 암호의 개념
- 암호화와 복호화에 하나의 같은 키를 사용하는 암호 방식
- 장점 :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빠름
- 단점 : 키 분배 문제 존재
- 블록 암호 : 평문을 고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마다 암호화 과정을 수행하여 블록단위로 암호문을 얻는 대칭키 암호 방식
- 스트림 암호
4. 공개키 암호의 개념
- 암호화와 복호화에 두 개의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하는 암호 방식
- 공개키 : 누구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할 수 있음
- 개인키 : 오직 자신만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할 수 있음
- 장점 : 키 관리가 쉬움, 키 분배 문제도 해결
- 단점 : 대칭키 암호에 비해 속도가 느림
'프로그래밍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 컴퓨터 보안 3강 (0) | 2019.04.10 |
---|---|
방통대 - 정보통신망 3강 (0) | 2019.04.05 |
방통대 - 이산수학 2강 (0) | 2019.04.03 |
방통대 - 정보통신망 (0) | 2019.03.30 |
방통대 - 알고리즘 2강 (0) | 2019.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