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병렬 처리의 개요
- 필요성 :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향상
> 하나 이상의 연산을 동시에 수행 > 연산속도 증가
- 순차처리기
2.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 성능 척도 : MIPS , MFLOPS, 벤치마크
- 병렬처리기의 분류 :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나 데이터의 수 , 처리기의 내부조직, 연결구조 등에 따라 분류
> 분류 방법 : 플린 , 펭, 구조
- 플린 : 명령어 스트림과 데이터 스트림이 컴퓨터 내에서 하나뿐인가 여러 개인가를 기준으로 분류
> SISD, SIMD, MISD, MIMD
- 펭 : 병렬수행 정도에 따라 분류
> WSBS, WPBS, WSBP, WPBP
- 구조 : 구조적인 융통성, 분산처리 방법 , 병렬처리 방법
상호 연결망 구조
- 정적 상호 연결망 : 경로 변경 x , 통신유형 예측할수 있는 경우에 적합
- 동적 상호 연결망 : 가능한 모든 유형의 통신
- 단일버스 구조, 다중 버스 구조
반응형
'프로그래밍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8강 확장된 트리구조 (0) | 2018.11.22 |
---|---|
7강 트리 (0) | 2018.11.20 |
14강 입출력시스템(3) (0) | 2018.11.18 |
13강 입출력시스템(2) (0) | 2018.11.18 |
12강 입출력시스템(1) (0) | 2018.11.18 |